Occupational Health & Safety Management System
  •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모든 조직원과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전 구성원의 안전보건의 유지, 증진을 위한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 조직이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하기 위해서는 안전보건과 관련한 목표를 정하고 조직 활동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인을 파악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개발하며, 조직 내의 물적, 인적자원을 배분하여 효율적으로 관리
근거
  •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국제표준화기구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제정한 안전보건 경영에 관련된 표준으로, IAF MLA(상호인정협정)를 통해 국제적 통용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공인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표준
  • 국내 ISO 45001 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지원센터(Korea Accreditation board, 이하 KAB)에 등록된 인증기관(Certification Body)을 통해 운영
  • KOSHA-MS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ISO 45001 국제 표준을 바탕으로 국내 안전보건법령(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등)을 적용하여 개발⸱보급하고 있는 단체 표준으로 사업장 규모, 업종(건설 및 제조업)에 따라 인증
개요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이란 사업장 내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한 안전보건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를 제3자가 심사하여 인증해 주는 제도
  • 인증의 기대효과는 ∆사업장 위험성을 관리, 예방하여 산업재해 감소 ∆법규 및 안전 규제에 대한 대응 ∆근로자 안전보건 위험성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성과측정 및 모니터링 ∆사업주 및 근로자의 안전보건 의식의 내재화를 통해 기업의 자율 안전보건관리 체계 및 안전문화 정착을 도모
내용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체제구축(P-D-C-A),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확보 의무(안전보건관리체계, 이행점검) 이행 및 점검, 위험성평가, 안전문화, 안전보건활동분야 진단 등에 대한 모든 컨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