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문화 진단 개요
  • 조직의 각 사업장 및 부서를 대상으로 안전문화 수준을 평가하고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 화학물질관리법 등에 의한 법적활동과 자율안전보건활동의 취약점을 파악하여 안전보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및 개선방안을 제시함
근거
자율진단이므로 산업안전보건법 제47조 안전보건진단, 제49조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시행 명령에 따라 강제적이지 않지만 절차를 준용함
개요
  • 국내·외 공신력 있는 안전문화 진단 프로그램(안전보건공단, ISRS)을 참조하여 기존의 어렵거나 명확하지 않은 진단 방법과 절차를 적용함
  • 단순한 문제점 제시에 그치지 않고 진단 이후에 안전문화를 증진할 수 있는 전문가들의 방안을 제시함
내용
  • 조직 내·외 최근 사고 및 업종별 유사 사고사례 분석
  • 현장방문 조사 및 준법 평가
  • 조직 상황에 맞는 안전문화 수준평가 설문서 개발 및 실행
  • 경영진 인터뷰를 통한 안전문화 의식도 조사 및 중재대해처벌법 역할수행 평가
  • 기존 안전문화진단결과 분석 및 최근 안전문화 수준평가 분석
  • 법정 및 자율 안전보건활동 분석 및 취약점 분석
  • 안전보건활동 개선방안 제시
  • 타사 우수 안전보건활동 사례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