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과 안전
Home
사업절차
공정안전보고서(PSM)
화학사고예방계획서
안전진단
건설안전진단
중대재해처벌법 이행점검
작업위험성평가
공정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 적합성 점검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산업안전보건법 안전교육
화학물질관리법 안전교육
해외법인 안전점검
안전문화진단
안전패트롤/안전감시단
연구실 안전
작업중지해제 준비
기계․설비․장치․건축물의 설치/완공 검사
협력기관
대학교
학회
협회
전문기관
민간기업
Menu
사업절차
공정안전보고서(PSM)
화학사고예방계획서
안전진단
건설안전진단
중대재해처벌법 이행점검
작업위험성평가
공정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적합성 점검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산업안전보건법 안전교육
화학물질관리법 안전교육
해외법인 안전점검
안전문화 진단
안전패트롤 / 안전감시단
연구실 안전
작업중지해제 준비
기계․설비․장치․건축물의 설치/완공 검사
작업중지해제 준비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55조 중대재해 발생 시 고용노동부장관의 작업중지 조치
개요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에 해당하는 중대재해 발생 시 제55조에 근거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해당 작업이나 중대재해가 발생한 작업과 동일한 작업에 대해 산업재해가 다시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부분 및 전면 작업중지명령이 발효됨. 2022년 평균 작업중지 해제 평균 소요일수가 40.5일로 조사되었으며 고용노동부에서 요구하는 재발방지대책을 중심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여 작업중지 조기 해소 및 작업중지 일수 단축
고용노동부 위험성평가 특화점검 컨설팅
고용노동부 위험성평가 특화점검 프로세스 컨설팅
중대재해 및 중대산업사고 발생 후 사후감독 및 확인감독 컨설팅
고용노동부 작업중지해제 프로세스 컨설팅
산안법 제55조 규정(작업중지) 등 관련 내용 컨설팅
작업중지해제 실무 대응 컨설팅
중대재해(중대산업사고) 원인조사 및 재발방지대책 컨설팅
중대재해 및 중대산업사고(PSM) 원인조사(직접원인∙근본원인) 파악
직접원인∙근본원인에 대한 종합 솔루션 제공
중대산업사고(PSM) 관련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컨설팅
중대산업사고(PSM) 발생 후 안전보건공단 확인심사 컨설팅
중대재해 관련 위험성평가(KRAS∙JSA) 컨설팅
중대재해 발생 공정 위험성평가 지원
위험성평가 개선권고사항 작성 지원
작업중지해제심의위원회 대응 컨설팅
작업중지해제심의위원회 구성
작업중지해제심의위원회 발표자료 작성 지원
작업중지해제심의위원회 시뮬레이션
작업중지명령 해제신청 시 제출 자료
사업장 공문
사고 개요 및 기존 관리 체계·방법
기존 관리 체계·방법의 문제 및 한계점
재발방지를 위한 개선 관리 체계·방법
사고 공정 위험성 평가
근로자 대상 사고 전파 및 안전교육 실시 자료